전체 글16 우주배경복사 우주의 기록 장부를 읽다 우주배경복사는 우주론과 천체물리학에서 가장 중요하게 연구되는 현상으로, 빅뱅 이후 우주의 역사와 구조를 이해하는 핵심 단서가 되어 왔습니다. 우주는 매우 오래되고 광범위한 공간으로, 눈에 보이는 별과 은하들만이 아니라, 전 우주에 걸쳐 퍼져 있는 다양한 형태의 배경복사라는 신호들이 있습니다. 이 배경복사들은 빅뱅 직후 생성되어 우주가 팽창하는 동안 변형되고, 식으며 남은 빛으로서, 각기 다른 파장과 에너지 대역에서 우주의 진화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우주마이크로파 배경복사, 우주적외선 배경복사, 우주감마선 배경복사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주마이크로파 배경복사 빅뱅이 생성한 우주의 첫 빛 우주마이크로파 배경복사는 빅뱅 직후 약 38만 년이 지난 시점에 우주가 충분히 식어 빛이 자유롭게 우주.. 2025. 9. 9. 북극성 하늘의 나침반 밤하늘에서 길을 잃지 않게 도와주는 별이 있습니다. 바로 북극성(Polaris)입니다. 북극성은 오랜 세월 동안 항해사와 탐험가, 천문학자들에게 중요한 길잡이 역할을 해온 별로, 우리에게 단순한 밝은 별 이상의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오늘은 북극성의 위치, 특징, 그리고 천문학적 의미까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밤하늘의 중심, 북극성의 위치 북극성은 작은곰자리(α Ursae Minoris)에서 가장 밝은 별로, 지구 자전축의 북쪽 방향 연장선이 하늘 면에 닿는 지점, 즉 천구의 북극점에서 약 0.7도 떨어져 있습니다. 이 근접 덕분에 북극성은 밤하늘에서 거의 움직이지 않는 것처럼 보입니다. 다른 별들은 지구의 자전에 따라 북극성을 중심으로 하루에 한 바퀴씩 도는 일주운동을 하는 것처럼 나타납니다. 즉.. 2025. 9. 7. 닮은 듯 다른 외계 행성, 천왕성과 해왕성 태양계의 외곽에는 푸른빛을 띠는 두 행성이 있습니다. 바로 천왕성과 해왕성이지요. 겉모습과 구성 성분에서 닮은 점이 많지만, 자세히 들여다보면 서로 다른 매력을 가진 행성들입니다. 오늘은 두 행성을 비교하며 그 특징을 알아보겠습니다. 푸른색 가스 행성, 공통점과 차이점 천왕성과 해왕성은 모두 가스 행성으로, 수소, 헬륨, 메탄으로 이루어진 대기를 가지고 있습니다. 특히 메탄 성분 때문에 푸른색을 띠고 있어, 멀리서 보면 마치 푸른 구슬처럼 보입니다. 두 행성 모두 토성처럼 뚜렷한 고리를 가지고 있지는 않지만, 희미한 고리가 존재합니다. 하지만 이 두 행성은 여러 면에서 서로 다른 특징을 지니고 있습니다. 천왕성은 거의 옆으로 누운 채 태양 주위를 돌고 있고, 해왕성은 남반구의 거대한 폭풍과 활발한 대.. 2025. 9. 4. 소행성 충돌설과 공룡 멸종의 비밀 인류 역사에서 가장 큰 미스터리 중 하나는 바로 공룡의 멸종입니다. 약 6,600만 년 전, 중생대를 지배하던 공룡들이 갑작스럽게 사라졌습니다. 이 사건은 단순히 공룡만의 멸종이 아니라, 해양 생물과 육상 생물 전반에 걸친 대규모 멸종이었죠. 이 멸종 사건의 원인으로 가장 유력하게 받아들여지는 것이 바로 소행성 충돌설(운석 충돌설)입니다. 오늘은 백악기 말 대멸종의 규모와 특징, 알바레즈 교수팀의 가설 제기 과정, 그리고 칙술루브(Chicxulub) 충돌구 발견으로 이어진 과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백악기 말 대멸종: 공룡만이 사라진 게 아니다 백악기 말에 벌어진 대규모 멸종은 단순히 공룡만의 비극이 아니었습니다. 연구 결과를 보면 당시 생물 멸종 비율은 과(科) 수준에서 16%, 속(屬) 수준에서.. 2025. 9. 2. 일식과 월식 하늘에서 펼쳐지는 태양과 달의 춤 밤하늘과 낮하늘에서 우리는 태양과 달이 만들어내는 환상적인 천체 현상을 볼 수 있습니다. 그중 일식(Eclipse of the Sun)과 월식(Eclipse of the Moon)은 태양, 지구, 달이 특별한 배열을 이루면서 생기는 자연의 경이로운 이벤트입니다. 이 현상들은 단순히 보는 재미뿐 아니라, 천체의 위치와 운동, 그림자 원리를 이해하는 중요한 기회이기도 합니다. 오늘은 월식과 일식의 특징을 비교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월식 지구 그림자 속 달의 변화 월식은 태양-지구-달 순으로 배열될 때 일어납니다. 즉, 보름달 때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관측자가 하늘을 보면, 둥글고 밝은 보름달이 점차 지구의 그림자 속으로 들어가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1) 관측 과정 달의 가장자리부터 오목하게 들어가며.. 2025. 8. 24. 산개성단 별들이 모여 빚어내는 우주의 풍경 밤하늘을 올려다보면, 별들이 단순히 흩어져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같은 시기에 태어난 별들의 집단, 즉 성단(cluster)을 이루기도 합니다. 그중 산개성단(open cluster)은 은하수 주변에서 비교적 젊은 별들이 느슨하게 모여 있는 천체로, 별들의 탄생과 진화를 연구하는 중요한 천문학적 단서가 됩니다. 오늘은 산개성단의 개념, 종류, 특징 및 연구의 중요성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산개성단이란 무엇인가? 산개성단은 하나의 성간구름(interstellar cloud)에서 수백만 년 정도의 짧은 시간 내에 태어난 수십~수천 개의 별로 구성된 별의 집단입니다. 산개성단의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느슨하게 흩어진 구조 이름 그대로 ‘산개(open)’라는 의미로, 빽빽하게 뭉쳐 .. 2025. 8. 23.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