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황도12궁, 별자리와 태양의 길을 따라

by 로롱구리 2025. 8. 20.

황도12궁은 태양이 1년 동안 지나는 길을 12개의 별자리로 나눈 서양 점성술의 핵심 체계입니다. 단순한 운세의 상징이 아니라, 천문학적 관측과 역사적 전통이 함께 얽혀 있어 흥미로운 의미를 지니고 있습니다.

 

오늘은 황도12궁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황도12궁, 별자리와 태양의 길을 따라

 

 

황도12궁이란 무엇인가?

 

황도12궁은 하늘에서 태양이 지나는 길인 황도(ecliptic)를 기준으로 12등분한 영역입니다. 황도대(zodiac)는 황도를 중심으로 남북 약 8~9도의 띠를 의미하며, 태양이 지나가는 길을 따라 12개의 구간에 별자리를 대응시킨 것이 바로 황도12궁입니다.

 

서양 점성술에서는 이 별자리를 사람의 성격, 운세 등과 연결하지만, 천문학적으로는 실제 태양의 통과 기간과 차이가 있습니다. 전통적으로 춘분(3월 21일)을 기준으로 양자리에서 시작하며, 순서대로 황소자리, 쌍둥이자리, 게자리, 사자자리, 처녀자리, 천칭자리, 전갈자리, 궁수자리, 염소자리, 물병자리, 물고기자리로 이어집니다. 각 별자리는 약 30일씩 태양의 영역으로 설정됩니다.

 

 

세차운동과 천문학적 현실

 

황도12궁과 실제 태양 통과 기간은 일치하지 않습니다. 그 이유는 세차운동(Precession of the Equinoxes) 때문입니다. 지구의 자전축이 천천히 움직이면서 춘분점이 이동하기 때문에, 현재 춘분점은 물고기자리에 위치합니다. 즉, 황도12궁에서 양자리로 시작한다고 해도 태양이 실제 양자리를 지나는 시기는 춘분 이후 한 달가량 늦어집니다.

 

또한 국제천문연맹(IAU)은 1930년 하늘을 88개의 별자리 구역으로 나누며, 태양이 지나가는 정확한 기간을 기록했습니다. 이에 따르면 전갈자리와 궁수자리 사이에 땅꾼자리(Ophiuchus)가 포함되어 있으며, 전통적 전갈자리보다 태양이 머무는 기간이 더 깁니다. 결국 태양은 13개의 별자리를 지난다는 사실도 알 수 있습니다.

 

 

황도12궁 별자리와 태양 통과 기간

 

 

별자리 라틴어 기호 통과 기간 (IAU 기준)
양자리 Aries 4월 19일 ~ 5월 13일
황소자리 Taurus 5월 14일 ~ 6월 19일
쌍둥이자리 Gemini 6월 20일 ~ 7월 20일
게자리 Cancer 7월 21일 ~ 8월 9일
사자자리 Leo 8월 10일 ~ 9월 15일
처녀자리 Virgo 9월 16일 ~ 10월 30일
천칭자리 Libra 10월 31일 ~ 11월 22일
전갈자리 Scorpio 11월 23일 ~ 11월 29일
땅꾼자리 Ophiuchus 11월 30일 ~ 12월 17일
궁수자리 Sagittarius 12월 18일 ~ 1월 18일
염소자리 Capricorn 1월 19일 ~ 2월 15일
물병자리 Aquarius 2월 16일 ~ 3월 11일
물고기자리 Pisces 3월 12일 ~ 4월 18일

 

이 표를 보면, 점성술에서 말하는 12궁과 실제 천문학적 별자리의 개수와 통과 기간이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별자리 관측과 황도12궁

 

태양이 별자리를 지나는 낮 동안에는 관측이 어렵습니다. 따라서 관측할 때는 6개월 후 또는 전 자정에 남중할 때가 가장 좋습니다. 예를 들어, 태양이 물고기자리를 지나는 3월에는 낮 동안 볼 수 없지만, 9월 자정에는 남중하여 관측할 수 있습니다.

 

황도12궁은 점성술적 의미뿐만 아니라, 태양과 별자리, 지구의 움직임을 이해하는 천문학적 배경까지 담고 있어 흥미롭습니다.